전체 글 보기 100

자신학화 (권성찬 선교사)

이 글은 2015년에 그 동안 설악포럼에서 논의된 자신학화 논의 부분에 대해 권성찬 선교사가 정리한 글이다. 자신학화 1. 자신학화 논의의 배경 선교는 복음을 전하는 것이다. 복음이 제대로 전해졌는지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이를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의 하나는 복음을 들은 사람들이 그리스도 안에서 자기 정체성 (identity)을 갖는 것이다. 자기 정체성이란 그리스도 안에서 자신이 누구인지를 알고 자신의 존재 의미와 자신이 속한 상황에서 어떻게 살아가야 할지를 아는 것이다. 더 나아가 하나님께서 진행하시는 열방을 향한 큰 그림을 이해하고 이에 참여하는 것이다. 이러한 자기 정체성을 돕는 선교 이론 및 선교 전략을 3자 원리라고 말한다. 영국의 헨리 벤과 미국의 루퍼스 앤더슨에 의해 각각 발전된 이 3자..

제1차 자신학화 포럼 발제 및 일정 안내

[포럼 배경] 20 세기 세계선교운동에 참여한 한국 교회를 통해 세계 곳곳에 복음의 진보가 나타난 것에 대해 하나님께 감사를 드린다. 동시에 그 과정을 통해 '자신학화' 혹은 ‘ 자선교학화' 라고 부르는 주제를 자각하게 되었다. 전통적으로 이해해 온 삼자 (자전, 자치, 자급) 원리가 표면적으로 성취된다 할지라도 선교지 교회의 자신학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진정한 의미에서 자생적이며 자기 주도적인 공동체로 성숙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것을 선교 현장에서 목도하였다. 달리 말하면 진정한 자신학화가 없다면 진정한 자립도 이루어 질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자각을 가지고 반추하는 실천가 (Reflective Practitioner) 들을 중심으로 자신학화 혹은 자선교학화에 대한 반추 모임을 시작하게 되었 다. 바..

포럼 배경과 목적

포럼 배경20 세기 세계선교운동에 참여한 한국 교회를 통해 세계 곳곳에 복음의 진보가 나타난 것에 대해 하나님께 감사를 드린다. 동시에 그 과정을 통해 '자신학화' 혹은 ‘ 자선교학화' 라고 부르는 주제를 자각하게 되었다. 전통적으로 이해해 온 삼자 (자전, 자치, 자급) 원리가 표면적으로 성취된다 할지라도 선교지 교회의 자신학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진정한 의미에서 자생적이며 자기 주도적인 공동체로 성숙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것을 선교 현장에서 목도하였다. 달리 말하면 진정한 자신학화가 없다면 진정한 자립도 이루어 질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자각을 가지고 반추하는 실천가 (Reflective Practitioner) 들을 중심으로 자신학화 혹은 자선교학화에 대한 반추 모임을 시작하게 되었 다. 바라기는..

포럼소개 2020.09.03